분류 전체보기26 신의 은총으로 은폐되는 진실 영화 후기 얼마 전, 신년미사를 마치고 군중들과 인사를 나누던 교황이 불같이 화를 내는 장면이 뉴스를 탔다. 교황과 악수하기 위해 늘어선 군중들 사이에서 한 여인이 교황의 손을 무례하게 낚아챘기 때문. 이 모습이 호사가들의 입에 오르내리자 교황은 다음 날 사과의 메시지를 냈다. “우리는 자주 인내심을 잃으며 나조차 그렇다. 어제 있었던 나쁜 본보기에 대해 사과한다” 성의를 입고 있지만 알고보면 교황도 나약한 인간이다. 제례를 주관하는 제사장에게 신성을 기대해서는 안될 터. 성직자는 보이지도 들리지도 만질수도 없는 신의 섭리를 대리하는 존재일 뿐이다. 우리는 곧잘 그 사실을 잊곤 한다. 화도내고 실수도 하는 존재지만 교황(사제)이 위대해 보이는 건 법관이 위대해 보이는 이유와 크게 다르지 않다. (연혁적으.. 2021. 11. 19. 왜 그림 그려요?-2 인상적인 장면을 보면 그 순간을 남기고 싶다. 대단치 않은 일상의 풍경도 때에 따라 마음을 잡아끌곤 하지 않나. 사람들이 멀쩡하게 갈어가다가 문득 걸음을 멈추고 사진을 찍는 이유도 그렇다. 눈길이 발길을 잡아끄는 것이다. 그렇게 담긴 사진은 기억에 남지 않아도 앨범 어딘가에 남는다. 필요할때 찾아볼 수 있는 어딘가에 그 순간을 남길수 있다는 것. 순간을 남긴다는 건 시간의 섭리를 거스르는 일이다. 움켜잡고 싶은게 어디 순간 뿐이겠냐만, 우리는 헛된 욕심을 포기하지 못한다. 그림은 찰라의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오랜 시행착오 끝에 개발된 기술이다. 사진도 그렇지만 그림은 사진에 비해 더 집요하게 한 순간을 잡아맨다. 그림은 집요한 욕심의 산물이다. 사람들은 신의 섭리를 거스르지 않으면서도 순간을 소유(한다는.. 2021. 11. 18. 존재를 이탈한 욕망의 파국 영화 후기 돈은 수단이다. 수많은 욕망과 재화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기능하지 않는 이상 돈은 그저 종이조각일 뿐이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 돈은 정말 수단일 뿐일까? 스스로는 종이 한장의 가치밖에 안되지만 돈은 언제부터인가 다른 모든 사물이 저마다 가지는 가치의 총합을 넘어서는 의미가 되었다. 다르게 말해 세상의 모든 가치를 집약해서 일체화시킨 결과물이 바로 돈이다. 돈은 수단이 아니라 이미 그 자체로 목적이 되었으며 세상 모든 곳에서 동일한 뜻으로 존재함으로써 신과 동급이 되어버렸다. 그래서인지 박해의 벼랑끝에서 신을 증명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주었던 초기 교회의 순교자들처럼 삶의 벼랑끝에 내몰린 사람들은 돈을 차지하기 위해 목숨을 건다. 영화 도 그런 이야기다. . . 지푸라기는 튼튼한 동앗줄을 잡.. 2021. 11. 17. 두 남매가 보낸 여름의 기록 영화 후기 영화 에서 주인공 두 남매의 일상을 잡아내는 시선은 지극히 관조적이다. 카메라는 남매의 삶속으로 깊게 들어가지 않는다. 첫 장면부터 그렇다. 다세대 주택 지하 방에서 잠시 망설이는 옥주를 비추던 카메라는 옥주보다 한 템포 느리게 움직이며 옥주가 떠난 빈 공간의 여운을 잡아낸다. 카메라만 그런 건 아니다. 남매가 아빠를 따라 할아버지네 집에서 여름방학을 보내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왜 고모는 갑자기 짐을 싸서 친정집으로 돌아왔는지 영화는 일일이 알려주지 않는다. 관객은 옥주를 비롯한 가족들의 표정을 읽으며 추측할 뿐이다. 그럼에도 관객은 불편하지 않다. 말하지 않아도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법한 사연들이겠거니 짐작하면 충분하다. 멀리 물러서서 느릿하게 여운을 주던 카메라가 역동적으로 변할 때가.. 2021. 11. 17. 이전 1 2 3 4 5 6 7 다음